Mechanism of Work-Family Conflicts,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of Dual Earner Couples 맞벌이 부부의 가정과 직장 간 역할갈등이 결혼만족도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개인특성 및 가족과 직장지원의 조절효과 중심-
손영빈 Young Bin Son , 최은영 Eun Young Choi
14(3) 29-60, 2009
Title
Mechanism of Work-Family Conflicts,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of Dual Earner Couples 맞벌이 부부의 가정과 직장 간 역할갈등이 결혼만족도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개인특성 및 가족과 직장지원의 조절효과 중심-
손영빈 Young Bin Son , 최은영 Eun Young Choi
DOI:
Abstract
Key Words
직장-가정갈등, work to family conflict, 가정-직장 갈등, family to work conflict, 결혼만족도, marital satisfaction, 직무몰입, job involvement,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The Influence of Father`s Child Rearing Attitude on their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Children`self-concepts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사회성 발달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 Ji Hye Lee , 김정옥 Jung Ok Kim
14(3) 61-89, 2009
Title
The Influence of Father`s Child Rearing Attitude on their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Children`self-concepts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사회성 발달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Shiftwokers` Work-Family Conflicts, Job Stress, and Utiliza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일반 근로자와 불규칙 근무 직종 근로자의 일-가족 갈등, 직무스트레스,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대한 차이 연구
안은진 Eun Jin Ahn , 유계숙 Gye Sook Yoo
14(3) 115-139, 2009
Title
A Study on Shiftwokers` Work-Family Conflicts, Job Stress, and Utiliza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일반 근로자와 불규칙 근무 직종 근로자의 일-가족 갈등, 직무스트레스,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대한 차이 연구
Self-esteem and Happiness caused by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Family Strengths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하진 Ha Jin Seo , 김정옥 Jung Ok Kim
14(3) 141-178, 2009
Title
Self-esteem and Happiness caused by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Family Strengths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하진 Ha Jin Seo , 김정옥 Jung Ok Kim
DOI:
Abstract
Key Words
가족건강성, family Strengths, 자아존중감, self-esteem, 행복, happiness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Married Life" of International Married Men 국제결혼 남성의 "부부되기"에 대한 문화기술지
김민경 Min Kyeong Kim
14(3) 179-211, 2009
Title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Married Life" of International Married Men 국제결혼 남성의 "부부되기"에 대한 문화기술지
김민경 Min Kyeong Kim
DOI:
Abstract
Key Words
국제결혼한 남성, men in international marriage, 문화기술지, ethnographic research, 부부되기 과정, process in married Life, 문화적 의미, cultural meaning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Reliev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Stroke Patients 집단미술치료가 뇌졸중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김영리 Young Ri Kim , 김윤정 Yun Jeong Kim
14(3) 213-237, 2009
Titl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Reliev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Stroke Patients 집단미술치료가 뇌졸중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김영리 Young Ri Kim , 김윤정 Yun Jeong Kim
DOI:
Abstract
Key Words
미술치료, art therapy, 집단미술치료, group art therapy, 뇌졸중 노인, elderly stroke patients, 우울, depression
The Study of the Parent-preschooler Communication and Peer Interaction According to Family System 가족체계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 상호작용
정은영 Eun Young Jung , 신혜원 Hye Won Shin
14(3) 239-267, 2009
Title
The Study of the Parent-preschooler Communication and Peer Interaction According to Family System 가족체계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 상호작용
정은영 Eun Young Jung , 신혜원 Hye Won Shin
DOI:
Abstract
Key Words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parent-preschooler communication, 가족체계, family system, 또래상호작용, peer interac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ources and Final Decision Making on Marital Role Conflicts and Marital Quality among Korean American Wives 자원 및 부부역할 갈등시의 최종적인 의사결정권과 결혼의 질: 재미교포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신화용 Hwa Yong Shin , 조병은 Byung Eun Cho
14(3) 269-295, 2009
Titl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ources and Final Decision Making on Marital Role Conflicts and Marital Quality among Korean American Wives 자원 및 부부역할 갈등시의 최종적인 의사결정권과 결혼의 질: 재미교포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신화용 Hwa Yong Shin , 조병은 Byung Eun Cho
DOI:
Abstract
Key Words
부부역할 갈등시의 최종적인 의사결정권, final decision making of marital role conflicts, 자원, resources, 성역할 태도, gender role ideology, 결혼의 질, marital quality, 재미교포 주부, Korean American wives
A Study of the Families in Long-term Separation: Marital Relationship of "Wild Geese Families" 장기분거 가족에 대한 일 연구: 기러기가족의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김양호 Yang Ho Kim , 김태현 Tae Hyun Kim
14(3) 297-326, 2009
Title
A Study of the Families in Long-term Separation: Marital Relationship of "Wild Geese Families" 장기분거 가족에 대한 일 연구: 기러기가족의 부부관계를 중심으로